작업관리시스템 개요
다양한 산업들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작업 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작업 관리 시스템에는 작업자들의 출입, 위치, 작업 내용 등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대표적으로는 작업예약 시스템, 출입통제 시스템, 위치인식 시스템, 방문객 시스템, 영상감지 시스템이 있으며
각각의 시스템에 포함되어 활용되고 있는 기술요소들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와 시스템들을 산업별, 기업별로 활용하여 하나의 작업관리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며, 산업이나 기업별로 작업관리시스템은 다를 수 있다.
작업 관리 시스템의 설명 및 구성 요소
작업 예약 시스템, 구성 요소
작업자의 작업 시간, 작업 일자, 작업 위치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DB)
작업자 신원 및 일정, 작업 장소 등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앱이나 PC웹을 통해 인터페이스(UI)를 제공,
작업자와 관리자가 직접 작업 일정을 예약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백엔드 서버
작업 예약과 관련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사용 된다.
출입 통제 시스템, 구성 요소
작업자들이 허가 된 장소에만 출입이 가능하게 하고 승인이 없을 때에는 접근을 제한하는 시스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물체를 식별하고 추적하는 기술로써 태그와 리더기로 구성된다.
직원과 방문객이 출입구를 통과할 때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출입을 허가하는 사원증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음식물 쓰레기 카드로도 사용된다.
바이오메트릭 인증
개인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이며, 대표적인 생체 정보로는 얼굴, 지문, 홍채가 있다.
PIN 번호 시스템
개인 식별 번호를 PIN이라고 하는데 개 개인별로 PIN코드(번호)를 발급하여 개인이 직접 발급받은 코드를 입력하여 출입하는 시스템이다.
중앙 관리 시스템
출입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서버나 소프트웨어를 두어서 직접
출입 기록을 저장하고 및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위치 인식 시스템, 구성 요소
작업자들의 작업 위치, 이동 경로 등을 파악하고 관리 및 통제하는 시스템
RFID
RFID는 위치 인식에도 활용 된다. 장비나 작업자에 RFID 태그를 리더기가 인식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비콘
저전력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이다.
송출된 신호는 스마트폰 또는 별도의 수신기로 전송되며 그 데이터를 토대로 위치를 추적한다.
주로 실내 위치 추적에 사용된다.
GPS
위성 신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며, 주로 야외에서의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 현황을 추척하는데 사용 되고 있다.
Wi-Fi 위치 추적
Wi-Fi 신호를 이용해 신호 강도를 분석하여 위치를 추척한다.
UWB (Ultra-Wideband)
작업자 혹은 장비의 위치 추적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정확도를 올리는 기술이다.
방문객 시스템, 구성 요소
외부의 작업자들이 방문할 때 신원을 확인하여 출입허가 및 출입증을 배부하는 시스템
신원 확인 장치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에는 신분증 스캐너, 카메라 등의 장비를 이용한다.
방문객 등록 소프트웨어
신원 확인이 완료 된 방문자의 정보를 별도의 소프트웨어에 입력하여 관리한다.
출입증 발급기
방문객에게 출입증을 발급하는 장치이며 여기에는 QR코드, 일회용 카드 등으로 발급하며,
별도의 카드 리더기, 또는 RFID리더기를 이용해서 출입을 허가 혹은 제한한다.
영상감시 시스템, 구성요소
작업 상황, 장비 및 시설물 등의 상태 및 현황을 영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카메라
녹화 장치(DVR/NVR)
카메라가 녹화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실시간으로 녹화 된 영상을 관찰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작업관리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한 상황 그리고
보안 지역등의 출입 등 비정상적인 상황등을 알려주는 알림 등이 포함되어 활용 되고 있다.